본문 바로가기
투자이야기/주식

데이 트레이딩시 계약수 조절 전략

by 세익 2025. 7. 2.
728x90

데이 트레이딩에서 계약수 조절 전략은 리스크 관리와 자본 보존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계좌수 조절은 트레이더가 시장의 변동성을 견디고, 지속 가능한 수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아래는 데이 트레이딩에서 계좌수 조절을 위한 주요 전략입니다:

1. 고정 비율 리스크 관리 (Fixed Percentage Risk)
•  방법: 각 거래에서 계좌 자산의 고정 비율(예: 1~2%)만 리스크로 노출시킵니다.
•  계산:
•  리스크 금액 = 계좌 잔고 × 리스크 비율 (예: $10,000 계좌에서 1% = $100)
•  계약수 = 리스크 금액 ÷ (진입 가격 - 손절 가격) × 계약 단위
•  예시: 계좌 $10,000, 리스크 1%($100), 주식 가격 $50, 손절 $49라면, 계약수는 $100 ÷ ($50 - $49) = 100주.
•  장점: 손실이 계좌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하고, 자본이 커지거나 작아질 때 동적으로 조절 가능.

2. 변동성 기반 계약수 조절 (Volatility-Based Sizing)
•  방법: 자산의 최근 변동성(예: ATR, Average True Range)을 기준으로 계약수를 결정.
•  계산:
•  ATR(예: $2) × 계약 단위 × 계약수 = 리스크 금액
•  계약수 = 리스크 금액 ÷ (ATR × 계약 단위)
•  예시: 계좌 $10,000, 리스크 1%($100), ATR $2라면, 계약수는 $100 ÷ $2 = 50계약.
•  장점: 시장 변동성에 따라 포지션 크기를 조절해 안정적인 리스크 관리가 가능.

3. 켈리 기준 (Kelly Criterion)
•  방법: 승률과 평균 수익/손실 비율을 기반으로 최적의 계약수를 계산.
•  공식:

f = (bp-q)/b

(f = 계좌에서 리스크로 사용할 비율, b = 수익/손실 비율, p = 승률, q = 1-p)

•  예시: 승률 60%(p=0.6), 수익/손실 비율 2:1(b=2)라면,  f = \frac{(2 \times 0.6) - 0.4}{2} = 0.4  → 계좌의 40%를 사용. (실제로는 과도한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절반인 20% 사용 권장)
•  장점: 이론적으로 자본 성장을 극대화.
•  주의: 변동성이 크므로 보수적으로 적용(예: Half-Kelly).

4. 계좌 레버리지 관리
•  방법: 마진 계좌 사용 시 레버리지를 제한(예: 2~4배 이하)해 과도한 손실 방지.
•  예시: 계좌 $10,000에 2배 레버리지 → 최대 $20,000 포지션. 리스크 1%($100)로 계산 시, 계약수는 자산의 가격과 손절 거리에 따라 조정.
•  장점: 과도한 레버리지로 인한 계좌 전액 손실(마진 콜) 위험 감소.

5. 일일 손실 한도 설정
•  방법: 하루 최대 손실 한도(예: 계좌의 3~5%)를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면 트레이딩 중단.
•  예시: 계좌 $10,000, 일일 손실 한도 3%($300) → $300 손실 시 당일 트레이딩 종료.
•  장점: 감정적 트레이딩 방지 및 큰 손실 예방.
6. 자산별 계약수 조절
•  방법: 트레이딩하는 자산(주식, 선물, 외환 등)의 특성에 따라 계약수를 다르게 설정.
•  주식: 가격대와 변동성 고려(저가 주식은 계약수 증가, 고가 주식은 감소).
•  선물/옵션: 계약 단위와 마진 요구사항 확인.
•  외환: 핍 가치와 레버리지 기반으로 로트 크기 조절(예: 마이크로 로트로 시작).
•  장점: 자산 특성에 맞춘 유연한 리스크 관리.

7. 백테스팅과 시뮬레이션
•  방법: 과거 데이터를 활용해 계약수 조절 전략을 테스트하고, 최적의 리스크 비율과 계약수를 확인.
•  도구: 트레이딩뷰(TradingView), 메타트레이더(MT4/5) 등으로 전략 검증.
•  장점: 실제 자본 투입 전 리스크와 수익성 평가 가능.
추가 팁:
•  초보자 권장: 리스크 비율을 0.5~1%로 낮게 설정해 학습 곡선 동안 자본 보존.
•  시장 상황 고려: 변동성이 높은 날(예: 경제 지표 발표)에는 계약수를 줄임.
•  기록 유지: 각 거래의 계약수, 리스크, 결과 기록으로 전략 개선.
•  심리적 안정: 계약수가 너무 크면 심리적 압박 증가 → 자신에게 맞는 크기로 조절.
주의사항:
•  과도한 레버리지 피하기: 높은 레버리지는 단기 수익을 늘릴 수 있지만 손실 위험도 극대화.
•  감정 관리: 연속 손실 후 계약수를 늘려 손실을 만회하려는 시도(리벤지 트레이딩) 금지.
•  규제 준수: 한국의 경우, 금융투자상품(선물, 옵션 등) 거래 시 관련 규제(예: 마진 요건) 확인.
이 전략들을 조합해 본인의 트레이딩 스타일(스캘핑, 스윙 등), 자본 규모, 리스크 수용도에 맞게 조정하세요.

300x250